패스트푸드 등을 자주 섭취하고 과식하는 등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을 가진 아이일수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재태기간 34주 미만의 조기 출산이 아동의 ADHD 증상과 관계있다는 연구도 나와 눈길을 끈다.
단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백기청·김경민 교수팀은 6~12세 초등학생 1만 6,831명을 대상으로 평상시 식습관과 ADHD 증상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패스트푸드, 청량음료, 라면을 자주 섭취하는 식습관이 ADHD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햄버거로 대표되는 패스트푸드를 1주일에 5~6회 먹는 아이들은 전혀 먹지 않는 아이들보다 ADHD 위험도가 1.57배 높았다. 청량음료와 라면도 같은 비교 조건에서 각각 ADHD 위험도를 1.36배, 2.25배 높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신선식품인 채소나 과일, 우유 등은 자주 먹을수록 ADHD 위험도 낮아졌다. 채소, 과일, 우유를 1주일에 1~2번만 먹는 아이들은 하루 3번 이상 먹는 아이들에 비해 ADHD 위험성이 각각 2.01배, 1.60배, 1.12배 높게 나타났다.
과식 등 나쁜 식습관도 영향 커
채소·과일·우유는 ‘억제’ 효과
34주 미만 조산아도 연관성
과식하는 버릇 등 나쁜 식습관도 ADHD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혀 과식하지 않는 아이 중 ADHD 고위험군 비율은 7.2%에 그쳤지만 매일 과식하는 아이들의 ADHD 고위험군 비율은 21.1%에 달했다. 식사 속도가 빠르거나 늦은 아이들의 ADHD 고위험군 비율도 각각 12.9%, 11.3%로 나타나 적정 속도로 먹는 아이들의 6.6%보다 약 2배 높았다.
단, 연구팀은 건강하지 못한 음식과 나쁜 식습관이 ADHD 위험을 높이는 이유라고 단순 해석하기는 어렵다고 부연했다. 역으로 ADHD 증상 중 하나인 충동성 때문에 아이들이 패스트푸드나 청량음료 등과 같은 자극적인 음식을 추구하거나 식사 과정에 집중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또 최근 발표된 노르웨이공중보건국 연구팀의 대규모 관찰 연구에 따르면 조산도 아동의 ADHD 증상 발현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는 25일(현지시간) 미국의사협회가 발간하는 학술지 ‘자마(JAMA)’ 소아과학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1999년 1월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태어난 11만 3,227명의 아동을 산모의 재태기간에 따라 △조기 조산(임신 22~23주 무렵 출산) △후기 조산(34~36주) △만삭 분만(39주, 40주, 41주) △지연 분만(41주 이후) 등 여러 그룹으로 나눴다. 그리고 아동이 5살일 때 ADHD 유무와 8살일 때 과잉행동 및 충동성 정도를 시험 관찰했다. 연구 결과 34주 미만 조산아의 경우 만삭 분만한 아동에 비해 ADHD 증상 테스트에서 높은 평균점을 받는 것은 물론 부주의, 과잉행동 평균 점수도 높았다. 특히 여성 아동들 사이에서 조산과 ADHD의 연관성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조산 위험을 줄여가는 일의 중요성을 밝힌 것은 물론 이른둥이들의 신경·정서발달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적정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OC기독교전도회연합회(회장 한성준)는 지난달 29일 은혜한인교회(담임 한기홍 목사)에서 오렌지카운티 한인 교회 협의회를 비롯한 기독교 단체들과…
한인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가전 제품 업체 ‘텔레트론’ (대표 유이 누엔)은 7월 4일부터 독립기념일 연휴 기간동안 집에서도 즐길 수 있는 사…
가든그로브 시는 오는 19일(토)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가든그로브 통합교육구 메인 오피스(10331 Stanford Ave)에서 위생국과 …
오렌지카운티 선거 관리국은 오는 14일(월) 오후6-7시까지 부에나팍 커뮤니티 센터(6688 Beach Blvd, Buena Park)에서 선…
미주통일전략회의(회장 강승규)는 오는 15일(화) 오후 3시 가든그로브 한인타운에 있는 한인회관(9876 Garden Grove Blvd.,)…
한국 재외동포청 산하 재외동포협력센터(센터장 김영근)는 전 세계 재외동포 가운데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2025년도 초청 장학생 80명을 최종 …
LA 한국교육원(원장 강전훈)은 뿌리·성인평생교육 2024-2025 올해의 우수강사 9명을 선정해 지난달 26일(목) 시상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미주한국어교육장학재단(KLESF·이사장 나영자)은 지난달 28일 LA 한인타운‘용수산’에서 이사회를 열고 2025년 한국어 장학생 및 우수교사…
지난 5월29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린‘이화여고 70회 졸업 55주년 재상봉의 날’ 행사에 참석한 LA 출신 동창생들이 기…
이찬수 목사 초청강사 충현선교교회 부흥회충현선교교회 설립 40주년을 기념하는 부흥회가 오는 18일부터 20일까지 열린다.‘그 힘의 능력으로 강…
2026년 월드컵 뉴욕·뉴저지 한인위원회가 29일 뉴저지 레오니아 소재 오버펙공원에서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전창덕 위원장과 김영길 후원회장…
지난 수개월간 진행된 대규모 연방공무원 감원 여파로 워싱턴 일원의 부동산 시장에 매물이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북버지니아 지역은 여전히 강세를 …
제75주년 6.25전쟁 기념일을 맞아 지난 25일 샌프란시스코 프리시디오 공원내 한국전 참전기념비 앞에서 한국전 발발 75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