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 웨이웨이가 정치, 미술사, 그리고 자신의 자서전적 요소가 담긴 벽 설치작 ‘10개 창들’(Ten Windows)을 설명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로 꼽히는 중국 설치미술가 아이 웨이웨이(Ai Weiwei)를 조명하는 전시가 LA에서 한꺼번에 열리고 있다.
마르시아노 아트 파운데이션(Marciano Art Foundation)이 지난 8월28일 아이 웨이웨이 첫 LA개인전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을 개막했고 그 다음날인 29일 할리웃에 위치한 제프리 디치 갤러리(Jeffrey Deitch 925 N. Orange Drive)가 뮤지엄 규모의 ‘아이 웨이웨이: 조디악’(Ai Weiwei: Zodiac) 전시를 공개했다. 이어 오는 4일 베벌리힐스의 UTA 아티스트 스페이스(UTA Artist Space 403 Foothill Road)가 ‘카오/휴머니티’(Cao/Humanity) 개인전을 연다.
중국의 유명 시인 아이칭의 아들인 아이 웨이웨이(61)는 베이징영화대학과 파슨스 스쿨 오브 디자인 출신으로 1981년부터 93년까지 미국에 거주하며 행위예술을 했다.
1993년 아버지의 병환으로 중국에 돌아갔고 이후 베이징에 실험예술가들의 이스트 빌리지를 만드는 데 조력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메인 스타디엄 설계에 참여한 유명 설치미술가인 그는 중국 당국의 정치범 구금, 감시 상황을 비판하는 퍼포먼스 등을 벌이며 중국 정부에 날을 세워왔다. 2011년 4월 베이징 공항에서 연행된 이후 81일간 탈세 혐의로 비밀리에 구금되자 정치탄압 논란이 일며 중국은 세계 각국의 항의를 받기도 했다. 아이웨이웨이는 2015년 3월 국제앰네스티 인권상을 수상한 뒤로 압수당한 여권을 돌려받고 독일로 옮겨가 거주하고 있다.
중국에서 반체제 예술가로 낙인찍힌 아이 웨이웨이는 최근 중국 당국이 아무런 사전 통지 없이 베이징에 있는 자신의 작업실을 강제 철거했다고 주장했다. 현재 독일 베를린에 사는 아이 웨이웨이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안녕’(Farewell)이라는 제목으로 자신의 작업 공간이 해체되는 장면을 전했다. ‘좌우’로 명명돼 있는 이 작업실은 아이웨이웨이가 지난 2006년부터 설치 미술작업을 해온 스튜디오였다. 주변의 ‘789 예술지구’처럼 오래전 지어진 공장 건물을 미술작업실로 전용했다.
마르시아노 아트 파운데이션 주소 4357 Wilshire Blvd. LA 문의 (424)294-7555
<하은선 기자·사진 LA타임스>

한국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사)한국 디지탈 사진가 협회 해외지부(지부장 홍달식) 서부지회(지회장 구본강)는 오는15일부터 22일까지 8일간 부…

가든그로브 한인타운에 있는 OC한미시니어 센터(회장 김가등)는 1주일 동안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이 프로그램은 ▲매주 월요일-오전9…
어바인 시는 7일부터 12월 19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2시 30분부터 4시까지 헤리티지 팍 도서관(Heritage Park Library)…
어바인 시는 오는 11일(화) 오전 11시부터 오후 12시 30분까지 대령 빌 바버 해병대 기념 공원(Colonel Bill Barber Ma…
노부모들을 대상으로 선교활동을 해 온 ‘부모님 선교회’(대표 주도진 목사)가 창립 30주년을 맞이했다.이 선교회는 지난 26일 부에나팍 갈보리…

118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세계적인 자동차 축제 ‘LA 오토쇼’가 오는 21일부터 30일까지 LA 컨벤션센터에서 대대적으로 열린다. 전 세계 …

파바월드(대표 명원식)는 지난달 31일 캘리포니아 컨트리클럽에서 2025년 파바월드 펀드레이징 골프 토너먼트를 개최했다. 130여 명의 후원자…
KAMA USA 시니어모델협회(회장 백은경)가 오는 8일(토)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30분까지 LA 한인타운 윌셔와 후버 코너에 위치한 컬…
LA 한인타운에 수학·과학에 특화된 정규 사립중학교 ‘윈저 아카데미’(WMSA, 4055 Wilshire Blvd. #400, LA)가 지난 …
한국목우서각협회(회장 정기호)와 미주한인서각협회(회장 이애령)가 11월 1~8일 LA 한인타운 리앤리 갤러리에서 서각교류전을 갖는다.가주 의회…



















문태기 OC지국장
민경훈 논설위원
박홍용 경제부 차장
정유환 수필가
이영태 / 한국일보 논설위원
이육사
옥세철 논설위원
캐슬린 파커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미 전국에서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른 차기 뉴욕시장과 뉴저지주지사를 뽑기 위한 선택의 날이 밝았다. 뉴욕과 뉴저지 본선거가 4일 지역별로 설치돼…

제22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가 출범했다.평통 의장인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평화공존과 공동성장의 한반도 새 시대’를 열어갈 제22기 …

연방정부 셧다운이 4일로 35일째를 맞으며 역대 최장 기간 타이로 기록된 가운데 이로 인해 미국 항공 운송 시스템이 사실상 마비 위기로 치닫고…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