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경 북한대학원 교수 ‘신세대 남한 드라마 즐겨’
▶ ’자본주의적 징후는 아니다’…’장군님 스타일’ 유행
11일 북한 평양 시에서 젊은 여성 2명이 아침 출근길에 최신 유행인 롱패딩 점퍼와 부츠 등을 착용하고 팔짱을 낀 채 나란히 걷고 있다. 이들의 옷차림은 최근 북한 신세대의 취향을 반영한 듯 상당히 세련돼보인다.
북한의 신세대는 생계가 아닌 유행을 위해 휴대전화를 소유하고 성형과 미용에 관심을 두는 등 기존 세대와 확연히 구별되는 행동과 생활 세계를 가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15일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가 주최한 ‘북한 새 세대: 체제전환 혹은 체제수호의 축?’이라는 주제의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이런 분석을 내놓았다.
김 교수는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새 세대는 유행에 따라 옷을 입고 성형수술이나 미용시술로 외모를 꾸민다"면서 "북한의 새 세대는 물적 토대의 측면에서는 시장에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에 대한 주요 근거로 새 세대 탈북자들의 41.9%가 북한에 있을 당시 휴대전화를 소유하고 있었다는 설문결과를 들었다.
김 교수는 "주목할 지점은 휴대전화가 돈을 버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여성의 경우 유행이기 때문에 소유했다는 대답이 14.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북한의 새 세대들은 입고 다니는 옷을 선택하는 기준에서도 ‘추세에 따라가기 위해서’가 전체의 44.4%, ‘멋있어 보여서’라는 대답이 전체의 29.6%를 차지하는 등 유행에 민감한 모습을 보였다.
이들은 남한의 드라마나 영화를 담은 ‘불법녹화물’을 시청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재미있어서’, ‘남한 사회를 알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각각 전체의 38.9%와 33.3%를 차지해 바깥 세계에 대한 왕성한 호기심을 드러냈다.
나아가 북한의 젊은 여성들 사이에서 쌍꺼풀, 보조개 수술은 이미 널리 퍼져 있고, 이들은 눈썹, 아이라인, 입술 문신을 해서 좀 더 예뻐지려고 시도하고 있다.
김 교수는 다만 "이들의 문화적 실천과 경험의 중심에는 항상 국가가 존재한다"며 북한 새 세대들의 유행이 김정일을 지칭하는 ‘장군님 스타일’에 치우친 점과 ‘김일성 휘장’이 패션이 되는 점 등을 사례로 들었다.
새 세대의 소비 욕망이 국가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난 자본주의적 개인의 징후라기보다는 이들이 국가와의 적당한 교섭을 통해 체제 유지에 동조하고 있다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김정은 또한 체제 유지를 위해서는 새 세대를 체제수호적 집단으로 규율해야 함을 잘 인지하고 있다"며 김정은 정권이 12년제 교육체제의 도입 등 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것을 그 근거로 꼽았다.
김 교수는 "국가가 새 세대를 교육하고 규율하여 체제 순응적인 인민으로 만들어내는 데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