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 7만8,534명→2014년 7만345명으로
▶ 연방센서스국‘2014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
2014년 기준 일리노이주내 한인인구(혼혈포함)는 7만여명으로 전년대비 8천여명이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방센서스국이 최근 공개한 ‘2014 아메리칸 커뮤니티 서베이’(ACS) 통계자료에 따르면, 일리노이주내 한인 인구수는 혼혈을 포함해 총 7만345명으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그러나 2013년 같은 조사에서의 7만8,534명에 비해 8,189명이나 감소한 것이다. 이번 조사에서 미전체 한인인구는 총 182만 4,342명으로 전년도의 176만 8,644명에 비해 3.1% 증가했다. 비록 ACS가 추산치이기는 하지만 인구수는 매년 소폭이나마 증가하는 것이 통례인 점으로 볼 때, 일리노이주의 경우는 줄어들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일리노이 한인인구 감소
지난해 일리노이주 한인인구는 2개~4개 이상 혼혈인을 포함해 2013년에 비해 8,189명이 감소한 7만 345명으로 집계됐다. 주전체 인구는 총 1,288만580명이며 이중 아시안계는 66만3,454명이고 이 가운데 한인은 인도(24만1,260명), 필리핀(12만257명), 중국(11만6,683명)에 이어 4번째로 많았다. 혼혈을 포함하지 않은 한인인구수도 6만2,536명으로 2013년의 6만7,758명보다 5,222명이 줄어 든 것으로 집계돼 혼혈 및 비혼혈 인구 모두 감소했다. 한인인구의 혈통별 비율은 순수혈통은 전체의 88.6%이었고, 2개 인종 혼혈은 11%, 3개 인종 혼혈은 0.4%, 4개이상 인종 혼혈은 0.1%로 나타났다.
■중간연령 높아지고 65세 이상 고령인구 증가
이번 조사에서 미전체 한인인구의 중간연령은 34.2세였는데 비해 일리노이 한인인구의 중간연령은 34.6세로 미전체 보다도 조금 높았고 전년도(33.1세)에 비해서도 높아졌다. 65세 이상 한인인구는 총 8,150명으로 지난해의 7,407명보다 늘어남으로써 고령인구가 점차 늘고있음을 반영했다. 반면, 18세 미만 미성년자수는 1만5,255명으로 전년도의 1만9,826명 보다 줄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41%, 여성이 59%였다.(2013년-남성 47.2%, 여성 52.8%)
연령별 인구비율은 5세 이하가 전체의 6.2%였고, 5~17세는 15.5%, 18~24세 11.2%, 25~34세 18.1%, 35~44세 14.5%, 45~54세 13.6%, 55~64세 9.4%, 65~74세 7.4%, 75세 이상 4.2%의 분포를 보였다.
■풀타임 취업자수 인구, 풀타임 중간소득 모두 감소
16세 이상 한인인구 5만6,392명중 취업비율은 63.1%, 미취업은 36.9%였다. 풀타임 취업인구는 남성이 1만3,132명, 여성이 1만945명으로 2013년의 남성 1만4,908명, 여성 1만2,444명에 비해 남녀 모두 줄어들었다. 풀타임 취업자의 중간소득은 남성이 5만4,366달러, 여성은 5만226달러로 전년도의 남성 6만105달러, 여성 5만89달러에 비해 여성은 별 차이가 없었지만 남성은 소득이 5,739달러나 하락했다. 2014년도 아시안 출신국가별 중간소득은 미전체는 8만3,674달러였으며, 한인은 7만2,301달러, 중국계 8만5,211달러, 필리핀계 8만7,808달러, 일본계 9만9,586달러, 베트남계 6만4,531달러였다.
■학사이상 학력자 소폭 상승, 가구당 중간소득 감소
일리노이주내 25세 이상 한인인구 4만7,222명의 교육수준은 고졸 미만 6%, 고교졸업 14.4%, 2년제 대학 졸업 21%, 4년제 대학 졸업 37.8%, 대학원 이상 20.9%를 기록했다. 고교졸업 이상자는 94%로 전년도 95.4%에 비해 다소 줄었으나, 학사학위 이상자는 58.7%로 전년도의 57.5% 보다 소폭 상승했다. 학사학위 이상자 성별 비율은 남성은 60.4% 여성은 57.3%였다.
주내 한인가구수는 총 2만4,621 가구에 중간소득은 6만45달러였다. 이는 2013년의 2만5,539가구, 소득 6만711달러에 비해 모두 조금 감소했다.
■영어구사 능력과 가정내 영어사용 빈도 증가
영어구사능력은 5세이상 인구 6만5,980명 중 영어만 사용 35%, 한국어 사용 65%, 영어미숙 32%였다. 이는 2013년도의 인구 7만1,928명 중 영어만 사용 32.3%, 한국어 사용 67.7%, 영어미숙 35%와 비교했을 때 이민역사가 길어짐에 따라 가정에서 한국어보다 영어를 사용하는 한인가정이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임을 나타냈다.
■오바마케어로 무보험자 감소세
건강보험 가입현황을 보면 민간보험 가입비율 73.1%, 공공보험 수혜 20.7%, 무보험자 11.6%로 2013년의 민간보험 가입 69.4%, 공공보험 수혜 18.4%, 무보험자 15.2%에 비해 무보험자 비율이 3.6%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바마케어 시행으로 한인 보험가입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ACS조사란?: 연방센서스국이 매년 표본(sample)조사를 바탕으로 전국의 지역 및 인종, 민족 그룹별 인구수와 소득, 학력, 주거형태 등 각종 사회, 경제적 지표를 분석하는 통계자료다. 이 자료는 전체 인구 실사가 아닌 일부지역의 표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추정치이므로 실제 수치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현우정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