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폼페오는 ‘코흐家 해결사’ 논란…NAACP 등 인권단체들 세션스 비판
▶ 파티서 푸틴과 가까이 앉은 플린, 상원 인준 필요 없는 백악관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백악관 핵심 참모와 각료 인선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이들 내정자의 '흠결'도 하나둘씩 드러나고 있다.
이런 흠결은 장관직 인사라면 첫 시험대인 상원 인준청문회 과정에서 중대한 '아킬레스건'이 될 수도 있고, 인준이 필요 없는 직책이더라도 여론의 검증과 비판을 피해가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트럼프 내각' 초대 법무장관으로 발탁된 제프 세션스(앨라배마) 상원의원은 과거의 인종차별적 발언이 이미 도마 위에 오른 상태다. 비록 30년 전 일이긴 하지만 실제로 이 때문에 상원의 인준을 통과하지 못한 전력도 있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민주당과 시민단체가 세션스 내정자가 상원의원이 되기 전 1980년대 앨라배마에서 연방검사로 활동했던 기간의 행적을 집중적으로 파헤칠 것 같다고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세션스 내정자는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때인 1986년 연방 지방법원 판사로 지명됐으나, 상원 법사위 청문회에서 인종차별적 언행에 대한 증언이 잇따르면서 지명이 철회됐다.
세션스 내정자의 과거 검사 동료들은 그가 미국 최대 흑인단체인 전미유색인지위향상협회(NAACP)를 '반(反)미국적이며 공산주의 영향을 받은' 단체라고 언급했다고 말했다.
동료였던 흑인 검사 토머스 피구레스는 세션스 내정자가 자신을 "야, 이봐(boy)"라고 부르는가 하면, 백인 우월주의단체 큐클럭스클랜(KKK)에 대해 "내가 그들이 대마초를 피우는 것을 발견할 때까지는 괜찮을 것"이라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세션스 내정자는 이런 논란에 대해 농담이었다고 해명했다.
세션스 내정자는 또 미국의 투표권리법과 이에 따라 남부 주(州)에서 행해지는 엄격한 감시활동에 대해 경멸적인 말을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세션스 의원 법무장관 내정에 대해 인권단체들은 비판 목소리를 내고 있다.
NAACP는 이날 트위터에서 "세션스 의원의 법무장관 기용은 걱정스러운 일"이라면서 "그는 시민권이 미국의 가치로 인정받지 못한 과거 미국의 오랜 추한 역사를 지지하는 인물"이라고 비판했다.
미국시민자유연맹(ACLU) 역시 성명에서 "세션스 의원은 우리를 비(非)미국적이고 공산주의자들이라고 불렀는데 우리는 이런 것을 단호히 거부한다"면서 "우리는 물론 다른 인권단체들도 성소수자 권리, 사형제도, 낙태 등에 관한 그의 입장에 문제를 제기해왔다"고 지적했다.
중앙정보국(CIA) 국장으로 내정된 마이크 폼페오(캔자스) 하원의원은 특정 기업을 위해 총대를 멘 전력이 시빗거리가 될 가능성이 있다.
폼페오 내정자는 공화당의 '큰손'이자 석유재벌인 찰스·데이비드 코흐 형제로부터 재정적인 후원을 받았다. 코흐 형제의 '코흐 인더스트리즈'가 2010년만 그에게 8만 달러를 지원했다고 NYT가 전했다.
그는 2012년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에 '코흐 형제 괴롭히기를 멈춰라'는 제목의 글도 썼다.
그는 이때 "많은 미국인이 절박하게 일자리를 구하는 현실에서, 우리는 기업인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달라고 간청해야지, 이들이 이윤을 창출한다고 해서 공격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으로 내정된 마이클 플린 전 국방정보국(DIA) 국장은 미국과 적대적인 러시아, 터키와 근거리에 있었던 점과 반(反)이슬람 발언 등이 집중 조명을 받고 있다.
플린은 DIA 국장에서 경질된 후 '플린 인텔 그룹'이라는 컨설팅회사를 차렸는데 여기서 중동 국가들과 '수상한 사업'을 하거나, 터키 정부를 위해 로비를 해준 것 같다고 NYT가 보도했다.
폴리티코는 플린의 컨설팅회사가 '터키-미국 경제위원회' 이사장인 카밀 엘킴 알프테킨을 위해 컨설팅을 해 줬으며, 그 알프테킨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의 올해 초 미국 방문을 주선한 인물이라고 전했다.
민주당 소속 일라이자 커밍스(메릴랜드) 하원의원은 이날 마이크 펜스 부통령 당선인 겸 정권 인수위원장에게 보낸 공개서한에서 "플린이 터키 대통령의 측근으로부터 돈을 받고 미 정부를 상대로 로비를 했다. 이런 명백한 이해충돌의 문제가 있는데도 어떻게 대선 때부터 기밀 브리핑을 받을 수 있었는지 모르겠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NYT에 따르면 플린은 또 지난해 러시아 정부가 후원하는 TV 방송사 '러시아 투데이'의 유료강연 요청을 받아들였고, 이 방송사가 모스크바에서 주최한 파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가까이 앉아 있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이런 것이 이해충돌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고, 따라서 트럼프 진영에서는 그가 CIA 국장 같은 직위에 임명된다면 상원 인준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안보보좌관은 대통령을 지척에서 보좌하는 '외교·안보 총사령탑'이지만 상원의 인준은 필요 없는 자리다.
이밖에 ABC 방송은 "플린이 과거 이슬람을 '암'으로 표현하고 '모든 문화가 도덕적으로 동등하다'고 믿지 않는다고 말해 이슬람 커뮤니티의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고 지적했고, CNN 방송은 "플린이 자신의 트위터에서 극우 성향의 '대안 우파'(alt-right) 및 반(反)유대주의자들과 교류하고 무슬림 신앙을 비방하며 심지어 근거 없는 뉴스도 공유했다"고 꼬집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