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 (47) 문경새재

문경에서 충주로 통하는 3개의 성문중, 문경새재도립공원 첫 번째 관문인 주흘관(主屹關)에는 영남제1관(嶺南第一關) 현판이 걸려있다. 사적 제147호로 지정된 문경 조령 관문을 통해서 역사적으로 선비들의 과거시험을 보러가고, 보부상들의 교역 루트(route)가 지역간 통신을 연결했다.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백두대간을 넘어오는 주 도로인 문경새재를 천혜의 군사요충지라는 가치를 인식한 조선은 3중으로 성을 쌓아 방어시설을 해놨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문경에서 충주로 통하는 문경새재도립공원 첫 번째 관문인 주흘관(主屹關) 성은 소백산맥 주변에 험준한 산세로 둘러싸여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사적 제147호로 지정된 문경 조령 관문 영남제1관(嶺南第一關)의 양 옆 성벽.
[Photo ⓒ 2021 Hyungwon Kang]

문경새재 해발 2,133피트(650미터) 정상에는 1708년 축조된 ‘영남제3관(嶺南第三關)’이라는 현판을 단 세 번째 관문인 조령관(鳥嶺關)이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1594년에 축성된 문경새재 제2관문 조곡관(鳥谷關) 앞 다리 위에는 신령스러운 동물의 상을 한 해치상이 지키고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1950년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던 도중 6·25 전쟁이 터지면서 인민군으로 지원해 전국을 발로 뛰며 전쟁을 경험했던 양원진(93) 할아버지는 1950년 11월 미군을 기습 공격해서 노획한 카빈 총알 500발을 짊어지고 문경새재를 새벽에 넘었던 기억이 있다고 한다. 비전향장기수인 양 할아버지는 “통일이 되면 장가 가겠다”는 젊었을 때 결심으로 평생 독신으로 살아오면서 “지난날 결혼할 뻔했던 여성들을 생각하면 미안한 생각”이 든다고 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동족상잔의 비극인 6·25의 피해 속에 아직도 계속해서 살고 있는 비전향장기수 어르신들. 왼쪽부터 김영식(88), 양원진(93), 박희성(86)씨. 모두 각각 27년, 29년반, 27년의 징역을 살고 나와 사단법인 정의·평화·인권을 위한 양심수후원회(이사장 김호현) 공간에서 거주하면서 고향으로 송환되기만 간절히 간구하고 있다. 2000년 판문점을 통해 비전향장기수 63명을 1차 송환한 이후, 2차 송환 신청자 33명 중 대부분 사망하고 현재 남은 총 11명의 비전향장기수가 남북한 양측 정부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여인의 춤추는 모습을 연상하는 교귀정 소나무는 문경새재 과거길에 있는 경상감사들의 교인식(인수인계)을 갖던 정자인 교귀정 앞에 있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문경새재 도립공원 주흘관(主屹關) 옆에 흐르는 초곡천이 기암괴석 절벽 앞으로 흐른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문경새재 도립공원 내 조곡폭포. [Photo ⓒ 2021 Hyungwon Kang]

호랑이가 나왔다는 문경새재를 넘으면서 숙식을 할 수 있었던 조령원터(숙박시설) 입구. 국가에서 운영했던 시설이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용추 계곡에는 맑고 차가운 물이 흐른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소원성취탑 - 문경새재를 지나는 길에 길손들의 소원성취를 위해 쌓은 돌무더기 탑이다. [Photo ⓒ 2021 Hyungwon Kang]


최근 미국의 이민 정책 변화로 시민권 시험과 절차가 복잡해지면서 전문가 지원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경제적 여건 때문에 시민권 신청을 …
![[업계 소식] 풍부한 경험 갖춘 ‘인기 높은’ 보험사 [업계 소식] 풍부한 경험 갖춘 ‘인기 높은’ 보험사](http://mimg.koreatimes.com/200/120/article/2025/11/20/20251120201659695.jpg)
가든그로브 한인타운에 있는 대부분의 한인들은‘명심 보험’(대표 애니 심)을 잘 알고 있다. 가든그로브에 거주하는 한인 시니어들은 메디칼, 메디…
가든그로브 시는 연말을 맞이해서 주택, 콘도 또는 아파트 외부에 장식한 연말 데코레이션 사진을 접수 받고 있다. 제출된 사진들은 시의 온라인 …
어바인 동물보호센터(6443 Oak Canyon)는 11월 15일부터 2026년 1월 15일까지 연례 연말 기부 캠페인을 개최한다.이 기부금은…
“국기원 캘리포니아 지부가 미 전국에 태권도를 알리는 시범단을 창단했어요”국기원 캘리포니아 지부(지부장 신용섭, 사무총장 김진섭)는 태권도의 …

김응화무용단의 김응화 단장이 롱비치의 아쿠아리움 오브 더 퍼시픽이 수여하는 2025년 ‘헤리티지 어워드’의 영예를 안았다. 올해 처음 개최된 …

남가주 최대 규모의 아시아 전통 예술 경연대회인 팬아시아 댄스 앤 드럼 대회에서 이정임무용원의 청소년 단원들이 경연에 참가해서 전체 대상 등 …
지난 15일 샌개브리얼 셰라톤 호텔에서 열린 남가주 최대 규모의 전통 무용대회인 팬아시아 댄스 앤 드럼 대회에서 유희자 국악무용연구소(원장 유…
다사다난했던 2025년이 이제 종착점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한 해를 잘 마무리하고 2026년 새해를 힘차게 맞기 위한 다짐을 하는 송년 …
아케디아 소재 홈갤러리인 ‘알트프로젝트’(대표 김진형)가 오는 29일(토)부터 한국 블루칩 작가 이상원이 참여하는 전시 ‘인 드리프트(In D…













![[화제]](http://image.koreatimes.com//article/2025/11/20/20251120212755695.jpg)













조지 F·윌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이희숙 시인·수필가
김정곤 / 서울경제 논설위원
수잔 최 한미가정상담소 이사장 가정법 전문 변호사
강민수 을지대 첨단학부 교수 한국인공지능학회장 
뉴욕주법원이나 로컬법원 주변에서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연방 당국의 이민자 단속에 제동이 걸렸다.연방법원 뉴욕북부지원은 지난 17일 연방법무부…

“오늘 출범식은 단순한 시작이 아니라 한인사회와 함께 만들어가는 평화와 희망의 약속입니다. 한반도의 평화는 거대한 정치적 언어가 아닌 우리 같…

샌프란시스코 한국 교육원(허혜정 원장)이 2025년 가을 학기에 처음 개설한 오프라인 한국어 과정 ‘한국어 1’이 오는 22일 성공적인 마무리…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