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획특집 /한인사회연구재단·재외한인사회연구소

지난 11월7일 대동연회장에서 열린 재외한인사회연구소 창립 10주년 기념갈라에 200여명이 참석하는 성황을 이뤘다.
“ 이민 기록이 없으면 이민 역사도 없다”는 말이 있다. 미주 한인들이 살아온 역사를 기록하는 재외한인사회연구소가 창립 10주년을 맞았다. 한인사회연구재단은 이 재외한인연구소를 돕고자 발족됐다. 한인사회연구재단(RFKC, Research Foundation for Korean Community)). 재외한인사회연구소(RCKC, Research center for Korean Community)의 모든 것을 알아본다.
■ 창립 및 연혁
2009년 9월 미동부 최초로 재외한인사회를 연구하는 재외한인사회연구소(소장 민병갑 교수)가 퀸즈 칼리지에서 정식출범 했다. 한 독지가의 20만 달러 기부로 시작된 연구소는 한인이민사회에 대한 연구와 이해 증진을 돕고 한민족 정체성 강화를 위해 설립됐다.
창립 첫 해인 2009년 9월 류꼬쿠 대학 경영학부 이수임 교수의 ‘재일교포들의 역사와 현황’ 초청강연, 11월 박사과정 3명 학생에게 논문 장려금 수여, 12월3일 플러싱 코리아 빌리지에서 ‘민병갑 교수의 주석이 달린 코리안 아메리칸’ 연구보고가 있었다.
2월19일에는 퀸즈 칼리지에서 재외한인사회연구소의 오프닝 세러머니, 3월16일에는 두 번째 리서치 발표로 민병갑 교수와 김치곤 오하이오 라이트 스테이트 교수의 발표 ‘미국 한인 성장과 변화’(1990~2008) 가 있었다. 1년 뒤인 2010년에는 연구소의 가장 든든한 우군인 재외한인사회연구재단이(현재 한인사회연구재단)이 창립됐다.
2010년 10월9일에는 제1회 국제북미학술대회가 ‘코리안 이방성과 이민 커뮤니티, 고국과의 관계’를 주제로 코리아 빌리지에서 개최됐다. 재외한인사회연구소는 지난 10년동안 9회의 학술대회, 정기강연 및 발표회 총 47회(2019년 11월 기준), 미주한인이민 관련 6권의 책을 발간했다.
■ 하는 일
첫째: 정기 세미나는 한인사회 및 해외한인사회를 주제로 1년에 5~6회 열리며 국제 컨퍼런스에는 한국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세계에서 초청된다.
둘째: 한국어·영어 저서/편저서 출판으로 재미한인사회에 대한 이해 및 향후 후세들이 1세와 2세의 발자취를 살펴볼 수 있다. 자료들은 사회복지기관, 한국 사회단체, 한국 학자를 비롯 전세계 학자들에 보내진다. 2012년 시작된 코리안아메리칸데이터뱅크(Korean American Data Bank Website(www.koreanamericandatabank.org)에는 다양한 한인 정보가 담겨있어 연구활동, 제안서,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양질의 자료를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약 600여권의 서적을 보유한 소규모 도서관도 운영한다.
비지팅(Visiting) 스칼라십 제도로 퀸즈칼리지에 온 교수에게 연구실 제공 및 연구를 도와주며 한국 국회를 비롯 전남대, 한국 외국어대, 고려대, 건국대, 한국재외한인연구학회 등과 MOU를 체결, 서로 도움을 주고 있다.
현재 재외한인사회연구소는 민병갑 소장을 중심으로 임세정 쿠니 사회학 박사 학위생을 비롯 토마스 정, 헤이든 주, 성상미 등 서너명의 파트타임 연구원이 있다.
■ 한인사회연구재단
2016년 11월5일 이사회에서 재외한인사회연구재단이 ‘한인사회연구재단’으로 개칭됐다.
재외한인사회연구소 지원을 중점 사업으로 이어가는 동시에 활동영역과 연구 대상을 좀더 광범위하게 확대하기위해서다. 올해에는 미동부한인문인협회 주최 미고교 한글백일장에 기금을 후원했다.
현재 한인사회연구재단은 상임고문 정해민, 김영덕, 스텝 멤버로 회장 고재승, 수석부회장 정홍균, 상임부회장 임춘택, 행사위원장 양효상, 특별위원장 트럼프한, 보드멤버로 이사장 박기효, 부이사장 함영기, 재무이사 에드워드 강, 총무이사 한범성, 보드디렉터로 홍성은, 황미광, 최진수, 앤드류 박, 김영환, 에드워드 박이 활동하고 있다.
지난 11월7일 재외한인연구소 창립10주년 기념갈라 후원처: 퀸즈칼리지, 신한뱅크 아메리카, 뉴밀레니엄 뱅크, 뱅크 오프 호프, KISS Products, DOUBLE TREE Fort Lee, 이치우미, 더큰집, 감미옥, 한국일보, 푸드 바자, 메트로 REAL ESTATE GROUP, BBM Group, Central Fish, Koam Merchant, CETTU, Rainier Group, Karaoke Duet, Central Funeral Home, Grand World Insurance, Jung & Associate, Law Office of Jin-Soo Choi, Peter and Joanna Park Foundation, Edward and In-Aie Foundation, Andrew M.Park CPA PC, 서울대학 뉴욕동창회, Aqura RoyaleFoods, 정영인 회장 등이다.
연락처 : 한인사회연구재단(RFKC) 주소/25 Laurie Dr. Englewood Cliffs, N.J. 07632 고재승 회장: 646-250-6640
재외한인사회연구소:www.koreanamericandatabank.org 주소/65-30 kissena Boulevard, Flushing, NY 11367-1597
<
민병임 논설위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