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세 오픈AI 전 연구원이 ‘2조원대 헤지펀드’…올해 수익률 47%
엔비디아와 오픈AI 등 인공지능(AI) 업종이 큰 호황을 누리면서 이 물결에 올라타려는 헤지펀드에도 투자금이 몰리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독일 태생의 리오폴드 아셴브레너(23)는 지난해 초인공지능의 장래성과 위험에 관한 165쪽짜리 에세이를 발표한 뒤 AI 분야 인플루언서로 급부상했다. 그는 이 지명도를 이용해 곧장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헤지펀드 '시추에이셔널 어웨어니스'를 설립했다.
아셴브레너는 전문적 투자 경험이 없는데도 경륜 있는 포트폴리오 매니저들보다 더 많은 자금을 모으는 데 성공했고 현재 15억달러(약 2조원)가 넘는 자산을 운용 중이다.
반도체와 인프라, 전력 업체 등 AI 기술 발달로 수혜를 볼 글로벌 주식과 앤스로픽 같은 몇몇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게 그의 주된 투자 전략이다. AI 발전에 뒤처질 산업군 주식에는 일부 쇼트(공매도) 전략도 취해 위험을 상쇄할 계획이다.
시추에이셔널 어웨어니스는 올해 상반기 수수료를 빼고도 47%의 수익률을 올렸다. 이 기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배당금을 포함한 수익률이 6% 정도였다.
오픈AI에서 연구원으로 잠시 일하다 퇴사한 아셴브레너는 결제업체 페이팔과 AI 방산업체 팰런티어 등을 창업한 억만장자 피터 틸의 헤지펀드에서 근무했던 칼 슐만을 리서치 책임자로 영입했다.
이 헤지펀드의 후원자로는 결제업체 스트라이프를 창업한 패트릭-존 콜리슨 형제, 메타의 AI 개발을 이끌도록 영입된 대니얼 그로스와 냇 프리드먼 등이 있다.
AI 붐을 겨냥한 헤지펀드는 이뿐 아니다. 전 퀀트 트레이더 벤 호스킨과 데이비드 필드가 설립한 '밸류 얼라인드 리서치 어드바이저'도 지난 3월 출범했는데 벌써 자산 10억달러를 달성했다.
베테랑 헤지펀드 업체들도 마찬가지다. 헤지펀드 '포인트72 애셋 매니지먼트' 설립자이자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 뉴욕메츠 구단주이기도 한 스티브 코언은 지난해 자신의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에릭 샌체즈에게 AI에 초점을 맞춘 헤지펀드를 설립하도록 하면서 직접 사재 1억5천만달러(약 2천억원)를 투자하겠다고 했다.
AI의 선구자로 여겨지는 앨런 튜링의 이름을 따 튜리온이라고 명명된 이 펀드에는 지금까지 20억달러가 넘는 투자금이 들어왔고, 올해 들어 수익률은 약 11%다.
WSJ은 "AI 열풍에 편승하려는 테마 펀드가 생겨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며 최근 몇 년 새 청정에너지 전환이나 ESG(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 경영에 특화한 헤지펀드가 크게 확산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잘되는 테마를 가려내는 것과 이를 잘 거래하는 것은 별개"라며 올해 1월 중국 기업 딥시크가 저비용·고효율의 AI 챗봇을 공개한 뒤 벌어진 주가 급락은 성공한 AI 기업의 가치평가가 지닌 취약성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다만 AI 투자자들은 비록 출렁임이 있더라도 장기적인 AI의 개발과 보급 추세는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