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단 후 5년 초과한 생존 환자 99년 이래 처음 100만명 넘어
▶ 남녀 전체 2017년 최다 발병은 위암·대장암·폐암·갑상선암 순
암 발생률 10만명 당 282.8명 평생 10명 중 3명 꼴로 암 진단
암 진단 후 5년을 초과해 생존한 환자 수가 1999년 정부 암 발생 통계 발표 이래 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암 환자가 일반인처럼 5년 이상 살 상대생존율은 70.4%로 집계돼 10명 중 7명꼴로 나타났다. 또한 암 발생률은 10만명 당 282.8명으로 줄었으며, 평생 한 번 이상 암에 걸리는 국민은 10명 중 3명가량으로 추정됐다.
한국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가 24일 발표한 ‘2017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1999년부터 2017년까지 암 진단 후 5년 초과 생존한 암 환자의 수는 103만9,659명으로, 전체 암 유병자(확진 후 치료 중이거나 완치한 사람ㆍ186만7,405명)의 55.7%를 차지했다. 추적 관찰이 필요한 2~5년 암 환자는 44만6,428명으로 전체 암 유병자의 23.9%였고, 적극적으로 암 치료가 필요한 2년 이하 암 환자는 38만1,318명으로 20.4%를 기록했다.
암 유병자는 전체인구 대비 3.6%(남자 3.2%, 여자 4.1%)로 국민 28명 당 1명(2017년 기준)에 해당한다. 특히 65세 이상에서는 82만6,103명으로 연령대 전체 인구(706만6,203명)의 11.7%에 달한다. 노인 100명 중 12명 정도가 암을 극복했거나 치료 중인 셈이다.
남녀 전체에서 유병자 수가 가장 많은 암은 갑상선암(40만5,032명)이었고, 위암(28만9,223명), 대장암(25만1,063명), 유방암(21만7,203명), 전립선암(8만6,435명), 폐암(8만4,242명)이 뒤를 이었다.
최근 5년간(2013~2017) 진단 받은 암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0.4%를 기록, 10년 전(2001~2005)에 진단받은 암환자의 생존율(54.1%)의 1.3배에 달했다.
암 종별로는 특히 갑상선암(100.1%), 전립선암(94.1%), 유방암(93.2%)의 생존율이 높았으며, 간암(35.6%), 폐암(30.2%), 담낭 및 기타담도암(28.9%), 췌장암(12.2%)의 생존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약 10년 전(2001~2005) 대비 생존율이 10%포인트 이상 상승한 암종은 위암, 간암, 폐암, 전립선암 등이었다. 성별 5년 상대생존율은 여자(77.5%)가 남자 (63.5%)보다 높았는데 생존율이 높은 갑상선암, 유방암이 여성에서 남성보다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국의 국가암검진사업 대상 암종인 5대 암(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의 ‘5년 암 순 생존율(2010~2014)’은 미국, 영국, 일본 등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었다. 특히 위암의 경우 한국(68.9%)이 미국(33.1%)과 영국(20.7%)에 비해 2~3배 높았다. 5년 암 순 생존율은 암이 유일한 사망원인일 경우 암 환자가 진단 후 5년간 생존할 확률을 의미한다.
2017년 새로 발생한 암 환자 수는 총 23만2,225명(남자 12만2,292명ㆍ여자 10만9,963명)으로 2016년(23만1,236명) 대비 0.4%(1,019명) 증가했다. 2017년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위암이었고, 대장암, 폐암, 갑상선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자는 위암, 여자는 유방암이 각각 1위로 나타났다.
암 발생률은 암 발생 통계를 산출하기 시작한 1999년부터 2011년까지는 연평균 3.7% 증가했지만 2011년을 기점으로 매년 2.6%씩 감소하고 있다. 암 발생률은 2011년 10만 명 당 326.1명에 달한 후 매년 감소해 2017년 10만 명 당 282.8명(남자 301.6명, 여자 278.9명)을 기록했다. 암종별로는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신장암 등은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고, 위암, 대장암, 갑상선암, 폐암(남자), 간암, 자궁경부암 등은 감소하고 있다.
한국 국민이 기대수명(83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5.5%로 남자(80세)는 5명 중 2명(39.6%), 여자(86세)는 3명 중 1명(33.8%)에게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264.4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301.1명)보다 낮았다. 한국의 남녀별 주요 암 발생순위는 갑상선암을 제외하면 일본과는 비슷했지만 간암, 위암의 발생률이 낮고 전립선암, 유방암의 발생률이 높은 미국, 영국 등 서구 국가와는 차이가 났다.
<
김치중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