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질 31만명·페루 10만명…빠른 증가세에 병상도 포화

코로나19 희생자 묻는 브라질 공동묘지 인부들[AP=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갈수록 가속하는 중남미가 전 세계 코로나19의 새 진앙지로 떠올랐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마이클 라이언 긴급준비대응 사무차장은 22일(현지시간) 화상 브리핑에서 "남미가 코로나19의 새 진앙이 됐다고 할 수 있다. 많은 남미 국가에서 확진자 증가가 관찰된다"고 말했다.
남미뿐만 아니라 중미와 카리브해 지역도 상황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의 집계를 종합하면 이날까지 중남미 30여 개국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65만 명가량이다. 전 세계 확진자의 12%가량인데, 아시아와 유럽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중남미의 비중이 계속 커지고 있다.
중남미에서 상황이 가장 심각한 곳은 브라질이다.
인구 2억1천만 명의 브라질은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31만4천769명으로, 미국과 러시아 다음으로 많다. 사망자는 2만267명으로 2만 명을 넘어섰다.
브라질의 하루 신규 확진자와 사망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월드오미터를 기준으로 전날 하루 사망자는 1천188명으로 최고치를 찍었고, 신규 확진자는 21일 2만1천472명으로 최다 기록을 고쳐 썼다.
증가 추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예상하기 힘들다.
페루 역시 전날 신규 확진자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4천749명이 늘어 누적 확진자는 10만8천769명이 됐다. 코로나19 발원지인 중국의 확진자 수(8만2천971명)를 넘어 계속 늘어나는 중이다. 사망자는 3천148명으로 늘었다.
칠레도 지금까지 가장 많은 4천276명 확진자가 하루에 추가되며 누적 감염자가 6만1천857명이 됐다. 사망자는 630명이다.
멕시코도 가파른 상승세가 이어져 확진자는 5만9천567명, 사망자는 6천510명으로 늘었다.
멕시코의 누적 확진자 수는 전 세계 17위 규모지만, 10%가 넘는 치명률 탓에 사망자 수는 10위로 올라섰다. 앞서 멕시코 보건부가 예측했던 최종 코로나19 사망자 수 6천 명도 뛰어넘었다.
이밖에 에콰도르(누적 확진자 3만5천828명), 콜롬비아(1만8천300명), 도미니카공화국(1만3천989명), 파나마(1만116명)까지 모두 8개국에서 1만 명 넘는 확진자가 기록됐다. 아르헨티나(9천931명)도 1만 명을 향해 가고 있다.
중남미엔 다른 대륙보다 늦은 2월 말에 코로나19가 처음 상륙했다.
중국에서 첫 환자가 보고된 때부터 2개월가량의 준비 기간이 있었던 셈이지만 큰 도움이 되진 못했다.

엘살바도르 빈민들이 지나는 차량을 향해 식량 지원을 호소하는 흰 깃발을 흔들고 있다. [AP=연합뉴스]
오히려 열악한 의료 체계, 높은 비공식 노동자와 빈곤층 비율, 공공기관 내의 만연한 부패 등으로 다른 지역보다 대응이 어려웠다.
대통령과 보건부의 불화가 이어지고 있는 브라질처럼 정부 내의 혼란이 상황을 악화시키기도 했다.
여전히 전반적인 검사 역량도 떨어지는 가운데 늘어나는 감염자로 병상이 포화상태가 된 곳도 많아 사망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우려된다.
칠레 산티아고의 중환자실은 90% 이상 이미 찼고, 멕시코에도 병상 포화를 알리는 병원들의 목록이 점점 길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사망자 시신에 대비해 공동묘지에 미리 줄줄이 무덤을 파놓은 장면은 이제 중남미 각국에서 흔한 모습이 됐다.
대부분 중남미 국가에서 대도시에 감염이 집중되고 있지만, 브라질과 콜롬비아, 페루 등의 아마존 밀림 지역이나 베네수엘라, 아이티 등 빈곤 국가들의 상황도 심각해 더욱 우려를 자아낸다.
라이언 사무차장은 이날 "브라질의 경우 확진자의 다수는 상파울루 지역에서 나왔지만 유병률은 아마조나스주가 가장 높다. 인구 10만 명당 490명가량이 감염됐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