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퓰리처상 수상자 강형원 기자의 한민족의 찬란한 문화유산 (14) 오백나한 석상

모두 저마다 다른 얼굴 표정과 다른 자세를 하고 있는 특이한 모습의 경북 영천 은해사 거조암의 526구의 나한석상 중 동물을 데리고 있는 것들을 모아봤다. 윗줄 왼쪽부터 정주존자, 안상서존자, 견지행존자, 제위행존자, 아래줄 왼쪽부터 국신상존자, 무명존자, 찬미음존자, 가섭존자.


거조암 영산전(靈山殿)을 가득 채워놓은 나한석상들.

국신상존자 무릎에 앉은 호랑이상.

유튜브 채널 The Sweet Neighbor 제작자 박지선씨가 경북 영천 은해사 거조암의 나한석상 촬영을 하고 있다.

나한신앙 신도가 경북 영천 은해사 거조암의 나한석상 밑에 복전을 넣고 있다.

국보 제14호 거조사 영산전 석가여래삼존불, 왼쪽부터 제화갈라보살, 석가모니, 미륵보살.


고려시대의 건축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15호인 안동 봉정사 극락전(安東 鳳停寺 極樂殿). 극락전은 영주시의 부석사와 함께 한국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이다.

안동 봉정사 극락전의 아미타불.

대한민국 국보 45호 부석사 무량수전 아미타불 부처님은 일반적인 남향이 아니고 동쪽을 향하고 있다.

해인사 법조전의 꺼지지 않는 진리의 부처 비로자나불상.

신라시대 8세기말~9세기 초의 원래 경주 남산 용장골에 있던 약사불. 약사불은 모든 질병 뿐 아니라 무지의 병까지도 고쳐준다는 부처다.


대한민국 보물 제280호 전라북도 고창군 아산면 선운사 도솔암에 있는 고려시대의 보살 금동지장보살좌상.

빼어난 풍광 속 고창군 선운사 도솔암 전경.

불국사 대웅전 석가모니불을 좌우에서 미륵보살과 제화갈라보살이 모시고 있다.


“김치 재료 직접 만져보고 담그면서 즐겁고 자랑스러웠어요”어바인 베델한국학교 (교장 윤주원)는 지난 22일 ‘김치의 날’ 제정을 축하하면서 유…

레이첼 김 상담사‘번민하는 이웃과 함께’라는 모토로 활동하고 있는 오렌지카운티 대표적인 비 영리 기관 중의 하나인‘한미가정상담소’(이사장 수잔…
‘WYN 코리안 바비큐’(대표 제드 양)가 지난 22일 오픈했다. 이 식당은 부에나팍 비치와 멜번 길 사이에 위치(구 새마을 식당 자리)해 있…
세계 기독교 어머니 기도회(회장 이선자 목사)는 내달 13일(토) 오전 11시 부에나팍에 있는 오렌지카운티 제자교회(시무 이선자 목사)에서 미…
풀러튼 시가 전 메이저 리그 강정호 선수와 MOU를 체결하고 지역 유소년 야구 환경 개선 및 인재 발굴에 나선다.플러튼 시는 지난 13일 시청…

재미수필문학가협회(회장 한 영)는 지난 15일 LA 용수산에서 ‘재미수필’ 제27집 출판기념회와 제20회 신인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

남가주 이북5도민회중앙회(회장 조명국)는 22일 그리피스팍에서 제36주년 창립총회 및 야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실향민 3·4대 가족을…
LA 한국교육원(원장 강전훈)은 지난 3일 엘랜초 교육구 소속 버크 중학교 내 스팀 아카데미를 방문해 한국문화 클럽 학생들에게 지원금을 전달하…
한인가정상담소(KFAM·소장 캐서린 염)이 ‘기빙튜스데이(Giving Tuesday)’인 오는 12월2일을 앞두고 특별 연말 후원 캠페인 ‘라…
한미무용연합 진발레스쿨(단장 진 최)이 연말을 맞아 차세대 발레 인재 발굴과 전문 교육을 위해 ‘꿈나무 발레리나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한층 …


























조환동 편집기획국장·경제부장
민경훈 논설위원
김도년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 스마트도시·건축학회장
정유환 수필가
정영오 / 한국일보 논설위원 논설위원
이인철
옥세철 논설위원
데이빗 이그나티우스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조란 맘다니 뉴욕시장 당선자가 21일 백악관에서 회동을 갖고 위대한 뉴욕시 만들기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선거기간 내내 …

495-벨트웨이 익스프레스 연장 공사가 3년 넘게 이어지면서 운전자들의 불만이 적지 않던 가운데 마침내 공사를 끝내고 23일 개통됐다.타이슨스…

원로 배우 이순재 전 국회의원이 25일(한국시간) 새벽 별세했다고 유족 측이 전했다. 향년 90세.함북 회령에서 태어나 서울고와 서울대 철학과…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