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사진제공]

미주한인서예협회(회장 테레사 황)의 제34회 정기 전시회가 지난 20일 LA 한국문화원 갤러리에‘다양성’을 주제로 개막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

미 전역 최대 규모 한인 여성 리더들의 행사인 제3회 위민스 런천이 한인커뮤니티재단(KACF) 주최로 지난 21일 뉴욕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
미주한인서예협회(회장 테레사 황)의 제34회 정기 전시회가 지난 20일 LA 한국문화원 갤러리에‘다양성’을 주제로 개막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
미 전역 최대 규모 한인 여성 리더들의 행사인 제3회 위민스 런천이 한인커뮤니티재단(KACF) 주최로 지난 21일 뉴욕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
김응화무용단의 김응화 단장이 롱비치의 아쿠아리움 오브 더 퍼시픽이 수여하는 2025년 ‘헤리티지 어워드’의 영예를 안았다. 올해 처음 개최된 …

























옥세철 논설위원
데이빗 이그나티우스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조옥규 수필가
민병권 / 서울경제 논설위원
양상훈 수필가·시인
조지 F·윌 워싱턴포스트 칼럼니스트 
론 김 뉴욕주하원의원이‘플러싱 커먼스’(Flushing Commons)에 새롭게 들어설 예정인 플러싱 YMCA에‘건축지원금’(Capital F…

“오늘 출범식은 단순한 시작이 아니라 한인사회와 함께 만들어가는 평화와 희망의 약속입니다. 한반도의 평화는 거대한 정치적 언어가 아닌 우리 같…

트럼프 행정부가 해외 부유층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영주권 취득 경로인 ‘골드카드’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핵심 절차를 진척시키면서 오는 12월 …
![]() | ||
|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5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어찌 여기는홍어놈이있는것같네 쟝개국이 미국을앞서 남좃선에 살아있는 삶은소대가리가 웃는다 ㅋㅋㅋ 좌좀빨깨깽깨이홍어놈들아 들어라 좌좀신문 오 마이뉴스가 발표했다 아무리 쟝개나라가 발광을해도 공산국가라서 한계가있어 미국을 절대따라 갈수없다고말이다 아무리 쟝개들아 발악해도 지금모든것이 허잡하고 앞으로도 허잡할것이다 쟝개를 경헙할려면너거눈으로 직접쟝개국에서 살아봐라 그러면 느낄것이다 ㅋㅋ
트럼프와 공화당 그리고 많은 보수들은 아직도 현세대가 얼마나 빨리 발전하는지 모른다. 아직도 차세대 첨단 산업육성보다는 멕시코 장벽쌓고 석유, 철강산업 살리고 낙태, 동성애가 윤리에 어긋나냐 아니냐 하는 고리타분한 논란에만 집중하고있다. 반면 중국은 종교도 없어 차세대 산업에 올인할수있다.
gizmo 백프로 동의함. 인재들이 세계에서 온다는데 왜 못오게하는지...불체자들때문에?? 구더기때문에 장못담그나?? ㅉㅉㅉ
한 세대후에 미국은 중국에게 뒤질 수도 있다는 것은 막연한 우려가 아니다. 그런데 트럼프와 같은 국제감각이 없다시피하고, 안목이 천박한 자가 국정 4년을 망가뜨리고, 국가를 후퇴시켰다. 바이든 행정부는 각계각층의 탁월한 인재와 함께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가동시켜서, 정말로 미국을 위대하게 재생시켜놓기 바란다. 대선 슬로건대로, "Build Better Back"을 이루기를 고대한다. 경제력은 중국이 앞설 수도 있지만, 세계경영은 미국이 도덕적이고, 경험이 많고, 노련하다. 지금은 바닥수준이지만, 국제사회의 존경도 회복하기 바란다.
미국 젊은 계층과 중국 젊은 계층의 분위기도 그렇다. 미국은 인문, 사회, 경제, 정치, 군사.. 등의 많은 영역에서 이민자들이 없으면 활력이 부족하다. 사상이 탄력을 잃어가고 있다. 반면에 중국도 미국 못지않게 국내적으로 난제가 산적하지만, 생각이 미래적이고 활력이 넘친다. 인구의 5%는 어느 국가라도 탁월한 지도자층인데, 미국은 1,500만명이지만, 중국은 거의 1억명이다. 미국은 이미 레이스에서 뒤지는 증세를 보이는데, 한 세대만 지나면, 중국인의 희망적인 우월감은 구체적인 현실감으로 바뀔 것이다.